개발하는 햄팡이

[Web] Web이란? - Web의 역사 살펴보기 본문

기타 개발 지식

[Web] Web이란? - Web의 역사 살펴보기

hampangee 2025. 3. 31. 17:45

WEB과 관련된 지식을 하나하나 정리해 가는 중..

 

1. Web

일단 web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가 흔히 web이라고 부르는데 사실 web은 WWW, World Wide Web을 뜻한다.

WWW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뜻한다.

 

요즘은 하도 웹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 웹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사실 나였음 ㅋ.ㅋ),

웹은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이고, 인터넷 상에는 웹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다.

 

지금은 대부분의 데이터가 웹에서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서비스 중에 다른게 뭐가 있지?' 생각해보면 잘 안떠오르는데,

인터넷 서비스의 예로는 이메일, 파일 전송, 채팅 및 메신저, 스트리밍 서비스, 온라인 게임 등이 있고

이들은 자체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이 많이 접하는 메신저나 게임을 생각해보면, 크롬이나 인터넷 익스플로어를 켜서 접근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한다음 이를 실행시켜 서비스를 이용한다.

 

어쨌든, 웹은 HTTP/HTTPS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전달 서비스이고 인터넷은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있다는 것.

웹 != 인터넷 이라는 것이다.

 

 


 

 

2. Web의 역사

웹에 대한 나무위키 등을 살펴보면

web은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 뭐지 조상중에 한국인이 있나?)가 전 세계의 문서들을 서로 연결하고 접근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사실 처음은 그렇게 거창한 것은 아니었고 문서를 우편으로 교환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해서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문서는 웹에 게시해놓고 볼 수 있도록 한게 처음이었다고 한다.)

이분은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 만들고 HTTP 프로토콜 이라는 통신 규약을 정의하고 HTML을 만들어서 웹 브라우저에 정보를 표현할 수 있게 하셨다..

아래는 맨 처음 만든 도메인이라구 한다. Web에 대한 의미와 사용법 등이 적혀있고 HTML로만 되어있다.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https://info.cern.ch/

 

http://info.cern.ch

 

info.cern.ch

 

초기에 web은 HTML만 있다가 이쁘게 꾸미기 위해서 CSS가 생겨나고...

JavaScript가 개발되면서 페이지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되었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지금은 뭐 데이터가 엄청나게 많아지고 AI가 발달하고 하면서 대규모 분산 서버와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로 발전하는 중이다.

클라우드에 대해서는 나중에 정리해야지

 

2.1. Web 2.0

웹의 발전에서 주목해야할 부분은 Web 2.0부터 인 것 같다.

90년대에 다양한 웹 브라우저가 나타나고 CSS와 JavaScript가 생겨나고, 웹 2.0은 2000년대 초에 등장했는데, 이때부터 소셜 미디어, 블로그 등이 활발해지기 시작한다.

이때 웹에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기술이 도입되는데 간단하게 말하면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 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동적으로 업데이트 비동기식 정보 교환 뭐 그런거다..

 

2.2. 실시간 데이터 와 HTTPS

실시간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웹소켓이 등장하고 스트리밍 서비스가 등간하면서 채팅, 온라인 게임, 실시간 협업 도구 등이 발전했다. 사실 모바일의 등장과 비슷한 시기에 다같이 발전하긴했다. 대IT시대가 모바일 전후인 것 같기도?

사용자 데이터가 왔다갔다 하기때문에 보안적인 측면에서 HTTPS도 발전하고..이것도 나중에 살펴보자

 

2.3. 모바일과 웹 클라우드 컴퓨팅

지금은 데스크탑도 물론 많이 쓰지만 모바일에서도 인터넷을 많이 쓰고 있다.

이거 진짜 2010년대만 가도 핸드폰으로 인터넷? 말도 안됐음 ㅋ.ㅋ 어렸을때 인터넷 키고 게임하다가 요금 겁나 많이 나와서 엄마한테 겁나 혼나고 인터넷 잘 되지도 않고 ㅜ 로딩하는데 천년 걸려서 무료 요금제는 로딩 끝나면 인터넷 끊겨버렸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반응형 웹 디자인이 중요해지고, 모바일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나타나고, 모바일 전용 웹 브라우저도 나타나게 된다.

 

또한, AWS등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발전하게 되면서 확장성과 비용, 접근성, 자원 할당 등의 부분에서 더 나아지게되고 기업들은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 대충 설명해보면 인터넷을 통해서 컴퓨터 자원(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대부분의 기업이 자체 데이터 센터나 서버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비용이 어마어마했다.

지금은 사용한만큼만 비용을 지불하고 관리도 외부업체에 맡기고, 데이터 센터나 서버실 없이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2.4 미래 동향

뭐 사실 미래라고 해봤자 이미 현재형으로 진행되고 있긴한데

지금은 인공지능, IoT, VR/AR 등 새로운 기술들과 인터넷이 융합되고, 일상생활에서까지 인터넷을 사용하려는 동향과 함께 사용자 맞춤 인터렉션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기업에서 사용자 니즈를 잘 파악하는 사람을 구하는게 아닐까..

뭐 어쨌든 아무리 일상생활에서 Iot를 써서 뭐한다해도 결국 한곳에서 데이터를 모아서 관리하고 그런 부분은 웹에서 하지 않을까 싶다. 

 

 


 

일단 이 글은 여기서 마무리 하고..

다음부터는 그래서 Web이 어떻게 데이터를 주고받고 웹개발이 뭐고 이런것에 대해서 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