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는 햄팡이

[2025.03.25] TIL - 정보처리기사 공부 중 본문

Diary/2025

[2025.03.25] TIL - 정보처리기사 공부 중

hampangee 2025. 3. 25. 22:12

어제 정보처리기사 실기 지원하는 날이었다.

나는 아직 필기도 안봐서 이제 4월에 필기 지원하는 날에 지원해 볼 예정이다.

사람들 말로는 필기는 기출돌리면 쉽다고는 하는데

기왕 공부할거 제대로 하자라는 마음이 있어서 실기 대비할겸 정보처리기사 공부를 하고 있다.

 

나는 시나공 기본서를 교보문고 ebook으로 구매하여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시나공 무료강의를 보면서 공부하고 있다.

사고나서 느낀게 강의가 너무 잘되어있고 강사님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도 잘해주시고, 어떻게 문제가 출제될 것 같은지 다 집어주신다.

그리고 강의 한개당 거의 10분내외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렇게 길지도 않고 듣기 편하다.

그래서 그냥 복습용 문제집만 구매하고 이론은 강의 들으면서 하면 될 듯?

강의를 많이보고 자란 세대라서 그런가 강의가 너무 좋다...

 

사실 문제집 해설도 무료 강의로 나와있다..

책 사는건 여유가 안된다면 굳이 안사도 될 것 같은게 사실 다 외우면 되긴 하니깐..

 

어쨌든 오늘은 정처기 공부한 내용을 조금 정리해볼려고 한다.

이게 개발 TIL이 아니라 공부 TIL이라서 조금 생소하긴한데...

일단 써보자


오늘의 학습 내용

1. 요구사항 분석

: 개발의 첫 단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문서화(명세화)하는 활동

타당성 조사, 비용 및 일정에 대한 제약 설정, 목표 정하기

 

문서화라는 것을 명세화라고 하고 이 결과물을 명세서라고 한다.

처음 이 분야에 넘어왔을때 명세서라는 단어가 조금 생소했는데 '이런 이유였구나' 하고 알게 되었다.

그리고 타당성을 조사한다 라는 말도 표현력이 많지 않은 나에겐 좀 어려운 표현이었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타당한지, 실제로 적용 가능한지 등등을 판단하는걸 타당성을 조사한다고 말하는 것이라고 했다.(강사님께서)

 

2. 구조적 분석 기법

- 자료의 흐름과 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요구사항 분석 방법.

- 도형 중심의 분석용 도구, 하향식 방법 - 세분화, 분석의 중복 배제 가능

*하향식 방법 : 한 장의 종이에 소프트웨어의 모든 기능을 모델링 할 수 없으므로 전체적인 수준에서 상세 수준까지 위에서 아래로 단계별로 분리하여 보델링 하는 것

- 주요 구조적 분석 기법 도구

: 자료 흐름도(DFD), 자료 사전(DD), 소단위 명세서(Mini-Spec.), 개체 관계도(ERD), 상태 전이도(STD), 제어 명세서

 

3. 자료흐름도 (DFD; Data Flow Diagram)

: 자료의 흐름 및 변환 과정과 기능을 도형 중심으로 기술하는 방법

= 자료 흐름 그래프, 버블 차트

- 프로세스(Process) : 시스템의 한 부분(처리 과정), 처리, 기능, 변환, 버블.

- 자료흐름(Data Flow) : 자료의 이동(흐름), 연관 관계.

- 자료 저장소(Data Store) : 파일, 데이터베이스 등.

- 단말(Terminator) : 시스템과 교신하는 외부 개체.

 

4. 자료 사전 (DD; Data Dictionary)

: 자료 흐름도에 있는 자료를 더 자세히 정의하고 기록한 것

기호 의미
= 자료의 정의 : ~로 구성되어 있다
+ 자료의 연결 : 그리고
( ) 자료의 생략 : 생략 가능한 자료(Optional)
[ ] 자료의 선택 : 또는
{ } 자료의 반복 : Iteration of
1. 아래 첨자에 n : n번 이상 반복
2. 위 첨자 m : 최대 m번 반복
3. 아래 첨자 n, 위 첨자 m : n이상 m이하로 반복
*  * 자료의 설명 : 주석

 

 

 

출처

[시나공 정보처리] 1400800 요구사항분석

https://youtu.be/lMIF62ibEjU?si=jDTM1ClRgJh2kHVs


정보처리기사 공부 하다보니깐 개발하고 싶어진다..

역시 글을 읽는 것보단 코드치면서 공부하는게 훨씬 재미있는듯!

배운 내용에 위 내용 말고도 많은 내용들이 있는데 너무 많아서 다 정리하지는 못하겠고

뭐 대충 저런식의 내용을 공부했다 정도로만 작성했다.

개발을 하면서 트러블 슈팅하는 내용을 쓰는거라면 쉬울 텐데 이렇게 내용 정리하고 작성하는건 뭔가 생소해서 쉽지 않았다.

 

그리고 원래 간단한 내용만 작성해서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기본모드가 쉬웠는데

앞으로는 HTML이나 Markdown으로 작성해야겠다.

기본모드는 기능이 별로 없어서 글쓰기 넘나 어렵...